====== Muscles and Bones ====== ===== 얼굴∙머리∙목 부위 ===== ==== 앞쪽(배쪽) ==== - 이마융기(전두융기) - 미간 - 코뼈(비골) - 광대뼈(협골, 광대활) - 턱끝 부위 * 턱끝융기 * 턱끊결절 - 목뿔뼈 - 눈썹활(미구) - 눈확(안와) (위모서리∙아래모서리) - 턱뼈가지(하악지) - 턱뼈각(하악각) - 턱뼈몸통 - 턱뼈바닥 * 방패연골(갑상연골) ==== 뒤쪽(등쪽) ==== - 바깥뒤통수뼈융기(외후두융기) - 둘째~일곱째목뼈(제2~7번 경추, C2~7)∙첫째목뼈(제1경추, T1) 가시돌기 - 첫째갈비뼈(제1늑골) - 맨위목덜미선(최상항선) - 위목덜미선(상항선) - 꼭지돌기(유양돌기) - 첫째목뼈(C1) 가로돌기 - 첫째~여섯째목뼈(C2~6) 가로돌기와 관절돌기 - 일곱째목벼(C7) 가로돌기 ==== 옆쪽 ==== - 마루결절(두정결절) - 위관자선(상측두선) - 아래관자선(하측두선) - 턱뼈머리(하악두) - 꼭지돌기(유양돌기) - 목뼈가시돌기∙첫째등뼈뒤결절 * 이마근(전두근) Frontalis; 눈썹 부위와 미간의 피부와 피하에서 일어나 정수리의 머리덪개널힘줄(모상건막)에 닿으며 뒤통수근으로 연결된다. 이마근과 뒤통수근을 합쳐 뒤통수이마근(후두전두근)이라 한다. * 눈썹주름근(추미근) corrugator supercilii; 미간에서 눈둘레근에 덮여 비스듬히 위쪽으로 일어나고 이마근, 눈둘레근눈확 부분의 근육다발과 섞여 있다. 눈이 부실 때 눈을 가느스름하게 뜨게 한다. * 눈살근(비근근) Procerus; 눈살에서 일어나 위로 올라가 이마근과 혼합되어 미간의 피부에 퍼진다. 콧등에 가로주름을 잡는다. * 눈둘레근(안륜근) orbicularis oculi; 눈꺼풀∙눈확∙눈물주머니 부위로 구구성성된된다다. 눈꺼풀을 채우고 눈확 주위를 둘러싼 타원형이다. 바깥쪽에 뼈로 이루어진 부착부가 없다. * 입꼬리올림근∙작은광대근∙큰광대근 (구각거근∙소협골근∙대협골근) levator anguli oris∙zygomaticus minor∙zygomaticus major; 입꼬리올림근과 작은 광대근, 큰광대근(대협골근)은 입꼬리를 올리는 작용을 한다. * 입꼬리당김근(소근) risorius; 넓은목근(광경근) 안면부 위에 있으며 입꼬리와 몸쪽 피부를 향해 뻗어 있다. 수축하면 웃는 표정이 나타나며 볼에 보조개가 생긴다. * 입꼬리내림근(구각하제근)∙아래입술내림근(하순하제근) depressor anguli oris∙depressor labii in ferioris muscle; 입꼬리내림은근 아래모서리 가운데부분에서 입꼬리를 향해 나 있다. 아래입술내림근은 아래턱뼈 앞쪽에 있는 턱뼈구멍의 아래쪽에서 아랫입술을 향해 나 있다. * 넓은목근(광경근) platysma; 빗장뼈(쇄골)를 넘어 어깨까지 이르는 부분에서 일어나 아래턱까지 넓게 퍼져있는 근육이다. * 턱끝근(이근) mentalis; 아래턱뼈에서 일어나고 양쪽이 만나 턱끝 부분의 피부 안으로 들어간다. 턱 끝에 주름을 만들고 아랫입술을 내밀게 한다. * 입둘레근(구륜근) orbicularis oris; 입 주위를 둥그렇게 둘러싼 근육으로 상하좌우 네 부분으로 이루어진다. 또 안쪽의 입술 부위와 바깥쪽의 가장자리 부위로 구별한다. * 깨물근(교근) masseter; 위턱과 아래턱을 연결하는 직사각형의 두꺼운 근육으로 깊은층과 얕은층으로 이루어진다. * 관자근(측두근) temporalis; 관자뼈의 관자우묵에서 일어나 머리 옆면에서 부채꼴 모양으로 넓게 퍼지는 근육으로, 아래쪽을 향해 달려서 아래턱뼈의 근육돌기에 닿는다. * 큰뒤머리곧은근(대후두직근) rectus capitis posterior major; 둘째 목뼈(C3, 제2목뼈(축추)) 가시돌기에서 작은 힘줄 형태로 일어나 위가쪽을 향해 올라가면서 넓어진다. * 작은뒤머리곧은근(소후두직근) rectus capitis posterior minor; 첫째 목뼈인 고리뼈에서 가는 힘줄 형태로 일어나, 바깥 위쪽을 향하면서 넓어져 근육 다발을 이룬다. * 위머리빗근(상두사근) obliquus capitis superior; 둘째 목뼈인 중쇠뼈 가로돌기에서 얇은 근육 형태로 일어나 위쪽과 안쪽으로 향하면서 넓어진다. 큰뒤머리곧은근의 약간 위 가쪽에서 뒤통수뼈에 붙는다. * 아래머리빗근(하두사근) obliquus capitis in ferior; 둘째 목뼈인 중쇠뼈 가시돌기에서 일어나 첫째 목뼈인고리뼈 가로돌기로 닿는다. 위머리빗근보다 큰 빗근이다. * 목빗근(흉쇄유돌근) sternocleid omastoid; 옆머리에서 비스듬히 뻗어 있는 커다란 근육으로 빗장부분(쇄골부)과 복장부분(흉골부)으로 형성된다. 이 둘은 위 가쪽의 뒤를 향하다가 목 부분에서 서서히 합류한다. * 앞목갈비근(전사각근) scalenus anterior; 목빗근 아래에서 목의 가쪽 깊은 곳에 있다. 목갈비근 중 가장 앞부분을 비스듬히 내려오는 근육이다. 그 앞쪽에는 가로막신경(횡격신경)이 나 있다. * 중간목갈비근(중사각근) scalenus medius; 목갈비근 중 가장 길고 크며 앞목갈비근 뒤쪽에 나란히 뻗어 있다. * 뒤목갈비근(후사각근) scalenus posterior; 목갈비근 중 가장 작고 가장 깊은 곳에 있다. 가장 뒤쪽에 비스듬히 뻗어 있다. * 머리가장긴근(두최장근) longissimus capitis; 척주세움근에서 가운데 부분을 이루는 가장 긴 근 중 머리뼈에 붙는 부분으로 첫째~다섯째 등뼈에서 일어나 뒤통수뼈로 닿는다. 널판근(판상근) 깊은 곳에 있으며 여러 개의 힘줄을 갖고 위쪽으로, 그리고 바깥쪽으로 퍼진다. * 머리널판근(두판상근) splenius capitis; 근섬유는 아래쪽으로는 마름근과 등세모근의 깊은 부분에, 위쪽으로는 목빗근의 깊은 부분에 근육 다발을 이루며 위와 가쪽으로 펴진다. * 목엉덩갈비근(경장늑근) iliocostalis cervicis; 편평한 힘줄이 등쪽 갈비뼈 뒷면에서 일어나 올라가면서 힘살이 발달하고 안쪽으로 틀어서 목뼈에 붙는다. * 머리반가시근(두반극근) semispinalis capitis; 위쪽 여섯째등뼈 가로돌기, 아래쪽 셋째~넷째목뼈 관절돌기에서 일어나, 위 뒤쪽에서 힘줄이 합류하여 넓은 근육을 이룬다. 목반사가시근을 덮으면서 위로 뻗어간다. ===== 몸통 ===== ==== 앞쪽(배쪽) ==== * 복장뼈(흉골) 1, 2, 3, 4, 5, 6 * 골반 9, 10, 11, 12 * 어깨뼈(견갑골) 14, 15 * 빗장뼈(쇄골) 13, 16 * 가슴뼈(흉골) 1, 2, 3, 4, 5, 6 * 갈비뼈(늑골) 7, 8 - 목아래패임(경절흔) - 빗장패임(쇄골절흔) - 복장뼈자루(흉골병) - 복장뼈각(흉골각) - 복장뼈몸통(흉골체) - 칼돌기(검상돌기) - 갈비활(늑골궁) - 명치각(흉골하각) - 엉덩뼈능선(장골능) - 위앞엉덩뼈가시(상전장골극) - 두덩뼈위가지(치골상지) - 두덩결합(치골결합) - 복장빗장관절(흉쇄관절) - 부리돌기(오훼돌기) - 어깨벼 봉우리(견봉) - 봉우리빗장관절(견쇄관절) - 빗장뼈(쇄골) ==== 뒤쪽(배쪽) ==== - 첫째등뼈가시돌기(제1흉추극돌기) - 일곱째등뼈가시돌기(제7흉추극돌기) - 열두째등뼈가시돌기(제12흉추돌기) - 넷째허리뼈가시돌기(제4요추돌기) - 정중엉치뼈능선(정중천골능) - 꼬리뼈(미골) - 어깨뼈 * 위각 * 위모서리 * 어깨벼 봉우리 * 어깨뼈 * 안쪽모서리 * 가쪽모서리 * 아래각 - 골반 * 엉덩뼈능선(장골능) * 위뒤엉덩뼈가시(상후장골극) * 궁둥뼈결절(좌골결절) * 등뼈(흉추) * 허리뼈(요추) * 골반 ==== 옆쪽 ==== - 목뼈(경추) (앞쪽굽음) - 등뼈(흉추) (뒤쪽굽음) - 허리뼈(요추 (앞쪽굽음) * 큰가슴근(대흉근) pectoralis major; 가슴우리 윗부분에서 복장뼈 양쪽에 있는 부채꼴 모양의 커다란 근육. 이는곳은 빗장뼈, 복장갈비, 배 부위로 나뉜다. 모두 겨드랑을 향해 뻗어 위팔뼈에 닿는다. * 작은가슴근(소흉근) pectoralis minor; 가슴으루에서 큰가슴근 아래쪽면에 있는 좁고 편병한 삼각형 근육이다. 근섬유는 위가쪽을 향해 뻗어 편평한 힘둘이 되어 모인다. * 앞톱니근(전거근) serratus anterior; 가슴우리 가쪽벽에 있는 톱니모양의 커다란 근육이다. 갈비뼈 가쪽에서 일어나 흉곽을 돌아서 뒤쪽에서 굽어 어깨뼈 아래를 지나 안쪽모서리를 향한다. * 배곧은근(복직근) rectus abdominis; 앞배벽의 양쪽에 있는 길고 넓은 근육으로 위에서 아래로 근섬유가 뻗어 있으며, 백색선에 의해 양쪽으로 나뉜다. 근육은 3개 이상의 구획으로 구성된다. * 배세모근(추체근) pyramidalis; 배곧은근집에 덮여 있고 배곧은근 아래쪽 앞면에 있다. 두덩뼈에서는 넓게 퍼져 있다가 위로 올라갈수록 좁아진다. 작은 세모 모양의 편평한 근육이다. * 배바깥빗근(외복사근) external oblique; 앞배벽의 가쪽 부분을 이루는 세 개의 근육 중 가장 표면 쪽의 근육. 배벽의 앞고 옆을 둘러싼 편평하고 얉은 근육이다. 근세포는 옆벽에 있지만 널힘줄은 배곧은근 앞쪽을 가로로 뻗어 백색선을 만든다. * 배속빗근(내복사근) internal oblique; 옆배벽과 앞배벽에서 배바깥빗근 아래에 있으며, 배바깥빗근보다 작고 얇다. 근섬유는 배바깥빗근과 반대로 교차하듯이 뻗어 있다. * 배가로근(복횡근) transversus abdominis; 배속빗근에 덮여 가장 깊은 곳에 있다. 근육세포는 옆배 부위에서 널힘줄, 백색선으로 가로로 뻗는다. * 가로막(횡격막) diaphragm; 가슴안(흉강)과 배안(복강)을 나누는 근육으로 된 막이다. 허리뼈, 갈비뼈, 등뼈 부위에서 일어나 위쪽으로 올라가 중심널힘줄(건중심)에 닿는다. * 등세모근(승모근) trapezius; 목 뒤편에서 몸통 등 부분에 얕게 위치한 삼각형 근육으로 , 윗부분, 중간부분, 아랫부분으로 구성된다. 반대쪽 근육과 함께 마름모꼴을 이룬다. * 넓은등근(광배근) latissimus dorsi; 가슴우리 뒷면 아랫부분과 허리뼈 부분의 얕은 층을 덮는 삼각형의 넓고 큰 근육. 위부분은 거의 수평이고 가장 아랫부분의 섬유는 거의 수직으로 뻗어 있으며 위팔뼈 가까이에 모인다. * 큰마름근(대능형근) rhomboid major; 등부분 위쪽에 있는 등세모근에 덮인 마름모형 근육으로 작은마름근 아래에 있다. 근섬유는 가시돌기에서 어깨뼈 안쪽모서리를 향히 비스듬하게 내려온다. * 작은마름근(소능형근) rhomboid minor; 등부분 위쪽에 있는 등세모근에 덮인 마름모형의 작은 근육으로 큰마름근의 바로 위에 있다. 근섬유는 가시돌기에서 어깨뼈가시 뿌리부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내려온다. * 어깨올림근(견갑거근) levator scapulae; 목 뒤가쪽에 있으며 옆쪽에서 목빗근, 뒤쪽에서 등세모근으로 덮여 있다. 목빗근의 깊은 부분에서 내려온다. * 척주세움근(척주기립근) erector spinae; 가쪽의 다소 얕은 층을 세로로 뻗어가는 허리엉덩갈비근과 등엉덩갈비근, 안쪽의 다소 얕은 층을 세로로 뻗은 등가장긴근과 목가장긴근, 가장 안쪽에서 깊은 층을 세로로 뻗은 등가시근, 이렇게 3개의 근육으로 형성된다. * 등가장긴근(흉최장근) longissimus thoracis; 척주세움근 중 가장 안쪽의 등가시근과 가쪽의 엉덩갈비근 사이에 있다. 근섬유는 상부 허리뼈 부분까지는 엉덩강비근의 섬유와 분리되지 않는다. * 등엉덩갈비근(흉장늑근) iliocostalis thoracis; 척주세움근의 가장 가쪽에 있는 근육 기둥으로 척주 양쪽의 가쪽에 있는 고랑 부분이다. 아래뒤톱니근, 마름근, 넓은등근, 등세모근에 덮여있다. * 허리엉덩갈비근(요장늑근) iliocostalis lumborum; 등가장긴근 가쪽의 얕은 층에 있으며 표층은 강한 근막을 이룬다. 엉덩뼈능선과 엉치뼈 뒷면에서 위를 향해 뻗다가 갈비뼈각에서 멈춘다. * 등가시근(흉극근) spinalis thoracis; 척주세움근 중 가장 작고 얇다. 척주의 가장 가까이 있다. 가시근들은 불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일이 구분하기 어렵다. * 뭇갈래근(다열근) multifidus; 엉치뼈 뒷면, 허리뼈 꼭지돌기, 등뼈 가로돌기, 목뼈 관절돌기에서 일어나, 2~4개의 위의 척추뼈가시돌기에서 멈춘다. 허리부분에서 가장 발달해 있다. ===== 팔이음뼈∙위팔 ===== ==== 앞쪽(배쪽) ==== - 어깨벼 봉우리(견봉) - 부리돌기(오훼돌기) - 위팔뼈머리(상완골두) - 큰결절∙큰결절능선 - 작은결절∙작은결절능선 - 결절사이고랑 - 위팔뼈 가쪽위관절융기(상완골외측상과) - 위팔뼈 안쪽위관절융기(상완골내측상과) - 노뼈머리(요골두) - 노뼈 붓돌기(요골경상돌기) - 자뼈 붓돌기(척골경상돌기) - 노쪽손목융기(요측수근융기) (손배뼈결절, 큰마름뼈결절) - 자쪽손목융기(척측수근융기) (봉알뼈(두상골), 갈고리뼈갈고리(유구골구)) ==== 뒤쪽(등쪽) ==== - 어깨뼈 - 위팔뼈머리(상완골두) - 위팔뼈 안쪽위관절융기(상완골내측상과) - 위팔뼈 가쪽위관절융기(상완골외측상과) - 팔꿈치머리(주두) - 노뼈머리(요골두) - 노뼈 붓돌기(요골경상돌기) - 리스터 결절 - 자뼈 붓돌기(척골경상돌기) - 자뼈머리(척골두) - 손배뼈(주상골) - 반달뼈(월상골) - 세모뼈(삼각골) - 갈고리뼈(유구골) - 알머리뼈(유두골) - 작은마름뼈(소능형골) - 큰마름뼈(대능형골) * 어깨뼈 봉우리(견봉) * 어깨뼈가시(견갑극) * 위모서리 * 위각 * 안쪽모서리 * 가쪽모서리 * 아래각 * 가쪽각 ==== 옆쪽 ==== - 어깨뼈 봉우리 - 위팔뼈머리 - 위팔뼈 가쪽위관절융기 - 노뼈머리 - 노뼈 붓돌기 - 위팔뼈 안쪽위관절융기 - 자뼈 붓돌기 - 자뼈머리 * 어깨세모근(삼각근) deltoid; 어깨뼈∙어깨뼈 봉우리∙어깨뼈가시에서 일어나 위팔뼈 가쪽의 세모근거친면에서 닿는 근육이다. 빗장부분, 봉우리부분, 가시부분으로 나뉜다. * 가시위근(극상근) supraspinatus; 가시위오목에서 큰결절 앞쪽에 닿는다. 위팔뼈머리의 안정화와 벌림, 가쪽돌림에 작용한다. 돌리근띠(회전근개)를 구성하는 근육 중 하나로 가장 쉽게 손상된다. * 가시아래근(극하근) infraspinatus; 가시아래오목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위팔뼈의 큰결절 가운데 부분에 닿는다. 돌림근띠(회전근개)를 구성하는 근육 중 하나로 위팔뼈머리의 안정화와 가쪽돌림, 벌림에 작용한다. * 작은원근(소원근) teres minor; 어깨뼈 가쪽모서리의 윗부분에서 가쪽 위로 긴 원뿔모양으로 뻗은 근육이다. 큰결절 맨 아랫부분에서 멈추며 돌림근띠(회전근개)를 구성한다. * 큰원근(대원근) teres major; 어깨뼈 아래각에서 앞가쪽 방향을 향하는 긴 원통형 근육이다. 넓은등근의 힘줄 뒤편에 힘줄이 있으며 양쪽은 짧은 거리이지만 합쳐져 있다. * 어깨밑근(견갑하근) subscapularis; 어깨갈비뼈면(어깨뼈 밑 오목한 곳)에 있는 평편한 삼각형 근육으로 돌림근띠(회전근개)를 구성하는 근육 중 하나다. 위팔뼈머리를 안정시키고 안쪽으로 돌리게 작용한다. * 부리위팔근(오훼완근) coracobrachialis; 어깨뼈의 두리돌기에서 일어나 위팔뼈의 중간 안쪽에 붙는 원통형의 짧은 근육으로, 근육 피부 신경이 부리위팔근을 뚫고 지나간다. * 위팔두갈래근(상완이두근) biceps brachii; 아래팔을 굽히는 대표적인 근육으로, 위팔 앞면의 전체 얕은 층에 있으며 알통을 만든다. * 위팔근(상완근) brachialis; 위팔두갈래근널힘줄의 깊은 부분에 존재하는 팔꿈치 굽힘근이다. 팔꿈치를 굽힌 상태에서 압력을 가하면, 위팔 먼쪽에서 위팔두갈래근널힘줄의 가쪽과 안쪽에서 힘살을 관찰∙촉진할 수 있다. * 위팔세갈래근(상완삼두근) triceps brachii; 위팔 뒤쪽에 위치하며 긴갈래, 가쪽갈래, 안쪽갈래로 이루어진다. 안쪽갈래는 가장 깊은 곳에 있으며 대부분이 긴갈래와 가쪽갈래로 덮여 있다. * 팔꿈치근(주근) anconeus; 위팔벼ㅂ 가쪽위관절융기의 뒷면에서 팔꿈치의 자쪽면에 퍼지는 작은 부채꼴 근육이다. 위팔세갈래근 안쪽갈래에서 이어져 있다. * 원업침근(원회내근) pronator teres; 아래팔 몸쪽에 있는 작은 근육으로 위팔갈래와 자갈래로 이루어진다. 위팔갈래와 자갈래 사이를 정중신경이 지나간다. * 네모엎침근(방형회내근) pronator quadratus; 아래팔의 아래부위에서 깊은 부분(제4층)에 있는 편평한 네모꼴 근육으로 자뼈에서 노뼈로 가로로 지나간다. * 긴손바닥근(장장근) palmaris longus; 가는 근육으로 위팔뼈 안쪽위관절융기에서 일어나 노쪽손목굽힘근의 자쪽을 지나고 힘줄이 되어 굽힘근지지띠 위를 통과해 손바닥으로 부채살처럼 퍼져 손바닥널힘줄이 된다. * 노쪽손목굽힘근(노측수근굴근) flexor carpi radialis; 아래팔의 노쪽에 있는 긴 원통형 근육으로 자쪽에는 긴손바닥근, 깊은곳에는 얕은손가락굽힘근이 지나간다. * 얕은손가락굽힘근(천지굴근)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; 위팔자갈래와 노갈래로 나뉜다. 두 부위가 맞닿아 폭넓은 힘살이 되어 노쪽손목굽힘근과 긴손바닥근의 깊은 층을 내려와 4개의 힘줄로 나뉜다. * 깊은손가락굽힘근(심지굴근) flexor digitorum profundus; 얕은손가락굽힘근의 깊은 곳에서 아래팔뼈사이막의 앞면에 위치한다. 4개의 힘살로 나뉘어 먼쪽에서 힘줄로 이행한다. * 긴엄지굽힘근(장무지굴근) flexor pollicis Longus; 아래팔 깊은층에서 윗부분은 얕은손가락굽힘근의 노갈래에 덮여 있고 노뼈 앞면에서 일어나며, 힘살은 반깃 모양이다. 힘줄은 깊은엄지굽힘근 다발의 가쪽을 따라 내려간다. * 자쪽손목굽힘근(척측수근굴근) flexor carpi ulnaris; 아래팔의 굽힘근 중에서 가장 자쪽에 있는 근육으로 위팔갈래와 자갈래로 형성된다. 두 개는 힘줄 아치로 연결되고 그 아래를 자신경이 통과한다. * 위팔노근(완요골근) brachioradialis; 위팔뼈의 가쪽 융기에서 일어나 아래팔 노쪽을 자나는 근육으로 노쪽의 근육 중 가장 힘살이 불거져 있다. 폄근에 속하지만 팔꿈치를 굽히는 데 작용한다. * 긴노쪽손목폄근(장요측수근신근) 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; 아래팔의 위팔노근 가쪽을 아래로 뻗어간다. 근섬유는 아래팔 중앙에서 편평한 힘줄이 되어 끝나고 이어서 노뼈 가쪽을 따라 내려간다. * 짧은노쪽손목폄근(단요측수근신근) 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; 아래팔 몸쪽에서 일부는 긴노쪽손목폄근의 아래를 뻗어간다. 근섬유는 손목관절의 꽤 위쪽에서 편평한 힘줄이 되어 긴노쪽손목폄근과 나란히 내려간다. * 손뒤침근(회외근) supinator; 아래팔 뒤쪽 윗부분 중앙에 위치하는 편평한 근육으로 위팔뼈의 가쪽위관절융기에서 일어나 두 층을로 나뉜다. 두 층 사이로 노신경 깊은가지가 지나간다. * 손가락폄근(총지신근) extensor digitorum; 아래팔 뒷면 노쪽에 있는 방추형 근육으로 손목관절 몸쪽에서 4개의 힘줄로 나뉜다. 힘줄은 폄근지지띠 아래를 통과해 손등에서 둘째손가락에서 새끼손가락에 붙듯이 뻗는다. * 새끼폄근(소지신근) extensor digiti minimi; 손가락폄근의 자쪽을 달린다. 이 근육은 없는 경우도 있는데, 그 때는 손가락폄근의 힘줄이 또 다른 힘줄을 내서 기능을 이어받는다. * 자쪽손목폄근(척측수근신근) extensor carpi ulnaris; 힘살은 아래팔 뒤쪽에서 폄근의 가장 자쪽을 내려온다. 폄근지지띠의제6관을 지나 손등으로 나와 새끼손가락뼈 바닥을 향한다. 손등 쪽으로 굽힐 뿐 아니라 강하게 자쪽으로도 굽히는 작용을 한다. * 긴엄지벌림근(장무지외전근) abductor pollicis longus; 손뒤침근 바로 아래쪽에 있으며 손뒤침근과 만나기도 한다. 아래 가쪽으로 비스듬히 내려와 손목관절 부위에서 힘줄이 된다. * 짧은엄지폄근(단무지신근) extensor pollicis brevis; 노뼈 뒷면의 자쪽, 긴엄지벌림근의 먼쪽에서 일어나 비스듬히 노쪽 아래로 내려간다.손목관절 몸쪽에서는 긴노쪽손목폄근과 짧은노쪽손목폄근 위를 비스듬히 지난다. * 긴엄지폄근(장무지신근) extensor pollicis longus; 아래팔뼈사이막의 뒷면에서 힘살은 손가락폄근, 새끼폄근, 자쪽손목폄근에 덮여 있다. 집게폄근의 노쪽에 위치한다. * 집게폄근(시지신근) extensor Indicis; 긴엄지폄근의 먼쪽에서 일어나 손목관절을 향한다. 힘살은 손가락폄근, 새끼폄근, 자쪽손목폄근에 덮여 있다. * 짧은엄지벌림근(단무지외전근) abductor pollicis brevis; 엄지두덩근(무지구근)의 노쪽에서 가장 먼 곳에 있다. 엄지손가락을 손바닥면에 대해 직각으로 벌리면 힘살의 융기를 관찰할 수 있다. * 엄지맞섬근(무지대립근) opponens pollicis; 짧은엄지벌림근에 덮여 있다. 주로 물건을 잡을 때(CM관절의 벌림과 안쪽돌림이 동시에 일어나는 대립 운동) 작용한다. * 짧은엄지굽힘근(단무지굴근) flexor pollicis brevis; 얕은갈래와 깊은갈래로 이루어진다. 얕은갈래는 가쪽에서 긴엄지굽힘근의 힘줄과 나란히 뻗어 있다. 깊은갈래는 안쪽에 있으며 엄지손가락 바닥쪽뼈사이근이라고 불리기도 한다. * 엄지모음근(무지내전근) adductor pollicis; 엄지두덩의 가장 깊은 곳에 있으며 빗갈래와 가로갈래로 이루어진다. 정중신경이 마비되면 엄지두덩은 위축되지만 자신경이 지배하는 본래 근육의 기능은 유지된다. * 등쪽뼈사이근(배측골간근) dorsal Interossei; 손허리뼈 등쪽 사이를 채우는 4개로 이루어져 있다. MP관절에서 집게손가락과 반지손가락을 가운데손가락에서 떨어지게 한다(벌림). 가운데손가락의 MP관절은 노쪽∙자쪽 양쪽으로 움직인다. * 바닥쪽뼈사이근(장측골간근) palmar Interosseous; 3개가 있으며 등쪽뼈사이근보다 작다. 각 갈래는 서로 떨어져 있으며 손허리뼈의 손바닥쪽면에서 일어나 손바닥을 향한다. * 짧은손바닥근(단장근) palmaris brevis; 새끼두덩의 가장 얕은 피부밑조직을 가로로 질러가는 얇은 근육이다. * 새끼벌림근(소지외전근) abductor digiti minimi; 새끼두덩의 자쪽 얕은층에 위치한다. 새끼손가락을 벌리고 손바닥쪽으로 구부리게 한다. * 짧은새끼굽힘근(단소지굴근) flexor digitorum brevis; 새끼벌림근과 같은 면의 노쪽에 있다. 이는곳에서는 자뼈동맥의 깊은소바닥가지와 자신경의 깊은 가지에 의해 새끼벌림근과 구분된다. * 새끼맞섬근(소지대립근) opponens Digiti Minimi; 새끼벌림근과 짧은새끼굽힘근의 깊은 층에 위치한 삼각형 근육으로 엄지맞섬근과 공동으로 사물을 잡을 때 움직인다. * 벌레근(충양근) lumbricales; 네 개의 원기둥형의 작은 근육으로 손허리뼈 위에서 깊은손가락굽힘근 힘줄에서 나와 먼쪽을 향하다가 손가락폄근 힘줄과 결합하여 손가락 폄근널힘줄로 이동한다. ===== 골반∙다리 ===== ==== 앞쪽(배쪽) ==== - 엉덩뼈능선(장골능) - 위앞엉덩뼈가시(상전장골극) - 넙다리뼈머리(대퇴골두) - 큰돌기(대전자) - 모음근결절(내전근결절) - 안쪽위관절융기(내측상과) - 가쪽위관절융기(외측상과) - 무릎뼈(슬개골) - 안쪽관절융기(내측과) - 가쪽관절융기(외측과) - 정강뼈거친면(경골조면) - 종아리뼈머리(비골두) - 안쪽복사(내과) - 가쪽복사(외과) - 목말뼈(거골) ==== 뒤쪽(등쪽) ==== - 엉덩뼈능선(장골능) - 위뒤엉덩뼈가시(상후장골극) - 큰돌기(대전자) - 모음근결절(내전근결절) - 안쪽위관절융기(내측상과) - 가쪽위관절융기(외측상과) - 안쪽관절융기(내측과) - 가쪽관절융기(외측과) - 종아리뼈머리(비골두) - 안쪽복사(내과) - 가쪽복사(외측상과) - 발꿈치뼈(종골) ==== 옆쪽 ==== - 모음근결절(내전근결절) - 안쪽위관절융기(내측상과) - 안쪽관절융기(내측과) - 종아리뼈머리(비골두) - 안쪽쌔기뼈(내측설상골) - 엄지발가락 발허리뼈(제1중족골) - 발배뼈(주상골) 발배뼈거친면(주상골조면) - 안쪽복사(내과) - 목말뼈(거골) - 발꿈치뼈(종골) 목말받침돌기(재거돌기) - 위엉덩뼈가시(상후장골극) - 큰돌기(대전자) - 가쪽위관절융기(외측상과) - 가쪽관절융기(외측과) - 가쪽복사(외과) - 발꿈치뼈(종골) - 입방뼈(입방골) - 새끼발가락 발허리뼈(제5중족골) * 큰허리근(대요근) psoas major; 허리뼈 옆에 있는 긴 근육으로 근섬유는 아래가쪽으로 뻗어 있다. 근육 크기는 골반의 모서리를 따라 내려가면서 작아진다. * 엉덩근(장골근) iliacus; 넓고 편평한 근육이다. 엉덩뼈오목(장골와)를 메우면서 내ㄹ가다가 가쪽에서 큰허리근의 힘줄과 합체한다. 큰허리근∙작은허리근과 함께 엉덩허리근(장요근)을 구성한다. * 큰볼기근(대둔근) gluteus maximus; 볼기를 볼록하게 만드는 볼기근 중 가장 크다. 가장 표층에 있으며 거의 사각형으로 넓고 두껍다. * 중간볼기근(중둔근) gluteus medius; 골반의 가쪽면에 있는 삼각형 근육으로 아랫부분은 대부분 큰볼기근에 덮여 있다. 앞쪽 2/3는 볼기근널힘줄에 덮여 있다. * 작은볼기근(소둔근) gluteus minimus; 큰볼기근과 중간볼기근에 덮여있는 편평한 부채꼴 모양의 근육이다. 볼기근 중 가장 작다. 근섬유는 비스듬히 아래가쪽으로 뻗으면서 큰돌기 앞모서리를 향한다. * 넙다리근막긴장근(대퇴근막장근) tensor fasciae latae; 위앞엉덩뼈가시의 가쪽에서 일어나 중간볼기근의 앞에 위치한다. 넙다리근막을 덮는 편평한 근육이다. 넓적다리의 아래쪽 2/3에서는 엉덩정강띠로 변한다. * 궁둥구멍근(이상근) piriformis; 큰볼기근 깊은 곤에 있으며, 엉치뼈 앞면의 첫째~넷째 앞엉치뼈구멍 가쪽면에서 큰돌기 위모서리를 향한다. 엉덩관절 뒤쪽을 중간본기근의 뒤모서리와 평행하게 뻗어 있다. * 넙다리네모근(대퇴방형근) quadratus femoris; 편평한 사각형 근육으로 아래쌍동근과 큰모음근 사이에 있다. 근육섬유는 엉덩관절과 넙다리뼈목 뒤쪽을 거의 수평으로 뻗어 있다. * 넙다리빗근(봉곤근) satorius; 우리 몸에서 가장 긴 근육으로 넙다리뼈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내려가며 무릎 위에서 넙다리뼈 안쪽관절융기의 뒤쪽을 향해 뻗어가고 넓은 힘줄이 되어 정강뼈안쪽으로 닿는다. * 넙다리곧은근(대퇴직근) rectus femoris; 넙다리네갈래근의 가장 앞쪽에서 두 갈래로 나뉜다. 아래앞엉덩뼈가시와 안쪽관절융기의 뒤쪽을 향해 뻗어가 넓은 힘줄이 되어 정강뼈 안쪽에서 정지한다. * 안쪽넓은근(내측광근) vastus medialis; 몸쪽의 긴갈와 먼쪽의 빗갈래로 나뉜다. 넙다리뼈의 긴 지름에 대해 긴갈래는 15~18º 각도로 붙고 빗갈래는 50~55º 각도로 붙는다. * 가쪽넓은근(외측광근) vastus lateralis; 넙다리네갈래근 중 가장 크고 바깥쪽에서 근육의 융기를 만든다. 넙다려뼈 축에 대해 17º 각도로 뻗어 있고 엉덩정강띠의 깊은 부위를 아래쪽으로 내려간다. * 넙다리두갈래근 긴갈래(대퇴이두근 장두) biceps femoris long head; 넓적다리 뒷면의 바깥쪽 부위에 있는 두 갈래로 구성된 근육 중 궁둥뼈결절에서 일어나 종아리 가쪽에 닿는 2개의 관절이다. * 넙다리두갈래근 짧은갈래(대퇴이두근 단두) biceps femois short head; 넓적다리 뒷면의 바깥쪽 부위에 있는 두 갈래로 구성된 근육 중 넓다리뼈 거친선 가쪽선의 아래쪽 1/2에서 일어난다. 긴갈래와 합쳐져 공통힘줄이 되어 오금의 가쪽으로 뻗어간다. * 반힘줄근(반건양근) semitendinosus; 궁둥뼈결절의 넙다리두갈래근 긴갈래의 안쪽에서 일어나는 가늘고 긴 근육이다. 아래 절반은 가는 힘줄이 되어 오금 안쪽을 향한다. 넙다리빗근, 두덩정강근의 힘줄과 합쳐져 거위발을 형성한다. * 반막근(반막상근) semimembranosus; 반힘줄근에 덮여 윗부분은 반은 넓은 근막이고 가운데 부분부터 힘살이 되어 아래안쪽으로 뻗는다. 닿는곳도 반힘줄근에 덮여 거위발을 형성한다. * 두덩근(치골근) pectineus; 두덩뼈위가지에서 뒷면 가쪽을 향하다가 넙다리뼈몸통의 몸쪽 부위 뒷면에서 정지한다. 모음근이지만 안쪽돌림의 보조 역할도 한다. * 두덩정강근(박근) gracilis; 넓적다리 안쪽에서 뻗어 있는 길고 가는 근육으로 넙다리뼈 안쪽관절융기의 뒤쪽을 지나 정강뼈 안쪽관절융기를 돌아간다. 힘줄은 넙다리빗근∙반힘줄근과 합쳐져 거위발을 만든다. * 긴모음근(장내전근) adductor longus; 넓적다리의 모음근 중 가장 앞쪽에 있는 근육으로 가는 힘줄 형태로 시작된다. 삼각형으로 긴 힘살로 퍼지면서 뒤가쪽으로 내려와 넙다리뼈에 부착한다. * 짧은모음근(단내전근) adductor brevis; 두덩근과 긴모음근에 덮여 있고 근육섬유는 뒤가쪽을 향해 달리며 편평한 세모꼴이 되어 내려온다. * 큰모음근(대내전근) adductor magnus; 모음근 중 가장 크고 넙다리 안쪽에서 3개의 근육다발로 구성된다. 넙다리의 위안쪽에서 아래가쪽을 향해 부채꼴 모양으로 퍼진다. * 앞정강근(전경골근) tibialis anterior; 장강뼈 가쪽에 있으며 몸쪽에서의 힘살을 두껍고 먼쪽이 되면 힘줄로 변한다. 근육섬유는 수직으로 내려와 종아리 먼쪽의 앞면에서 솟아난 힘줄 형태로 끝난다. * 긴엄지폄근(장무지신근) extensor hallucis longus; 앞정강근, 긴발가락폄근에 덮여 있고 종아리뼈사이막의 앞쪽을 가쪽에서 안쪽을 향해 내려온다. 힘줄은 종아리 먼쪽 1/3에서 표면에 나타난다. * 긴발가락폄근(장지신근) extensor digitorum longus; 종아리 앞면 가쪽 부위에 있으며 앞정강근의 가쪽을 따라 내려온다. 먼쪽에서 4갈래의 힘줄로 나뉘며 집게~새끼발가락의 발등에서 힘줄이 확대된다. * 셋째종아리근(제3비골근) fibularis tertius; 긴발가락폄근의 일부가 갈라져 독립한 근육이다. 긴발가락폄근의 가쪽에 있는 작은 근육으로 종아리 가쪽을 내려와 폄근지지띠(신근지대) 아래에서 긴발가락폄근과 구분된다. * 장딴지근(비복근) gastrocnemius; 종아리 뒤쪽에 있는 장딴지세갈래근 중 얕은층의 두 갈래로 이루어진다. 안쪽갈래는 아래가쪽으로, 가쪽갈래는 아래안쪽으로 비스듬히 내려가 합쳐지면서 넓고 두꺼운 힘줄이 된다. * 가자미근 soleus; 종아리 뒷면의 깊은 부분에 존재하며 단관절근이다. 장딴지세갈래근 중 가장 크다. 장딴지근과 함께 아킬레스힘줄이 되어 발꿈치뼈웅기에 붙는다. * 오금근(슬와근) popliteus; 가자미근이 시작하는 부분 바로 몸쪽의 깊은 부분에 존재하며 편평한 삼각형이나 사각형 근육이다. 가쪽 위에서 안쪽 아래로 비스듬히 뻗어 있다. * 뒤정강근(후경골근) tibialis posterior; 종아리뼈사이막 뒷면에 있는 깃모양의 근육이다. 굽힘근 중에서 가장 깊은 부분에 있다. 뒤정강근의 윗부분은 긴엄지굽힘근과 긴발가락굽힘근에 덮여 있다. * 발바닥근(족저근) plantaris; 장딴지근과 가자미근 사이에 있는 작은 방추형 근육으로 없는 경우도 있다. 짧은 힘살로 이어지는 가는 힘줄이 아킬레스힘줄의 안쪽 모서리를 따라 부착한다. * 긴엄지굽힘근(장무지굴근) flexor hallucis longus; 종아리 가쪽의 깊은 부분에 있으며 근육섬유는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지나 긴 힘줄이 된다. 힘줄은 정강뼈 끝, 목말뼈 아랫면을 가로질러서 엄지발가락으로 향한다. * 긴발가락굽힘근(장지굴근) flexor digitorum longus; 종아리 안쪽의 깊은 부분에서 일어나고 가자미근 바로 아래쪽, 긴엄지굽힘근의 안쪽에 있다. 아래로 갈수록 커진다. * 긴종아리근(장비골근) peroneus longus; 종아리 안쪽의 깊은 부ㅂ에서 짧은종아리근보다 얕은층에 존재한다. 힘살은 긴 힘줄이 되고 힘줄은 가쪽복사 뒤쪽을 돌아서 발바닥을 가로질어 안쪽을 향한다. * 짧은종아리근(단비골근) peroneus brevis; 긴종아리근의 깊은 부분에서 긴발가락폄근의 뒤쪽에 있ㄷ. 힘살은 수직으로 내려오면서 힘줄이 되고, 가쪽복사 뒤쪽을 돌아 발꿈치뼈 가쪽을 지나서 다섯째발허리뼈를 향한다. * 짧은엄지폄근(단무지신근) extensor hallucis brevis; 발꿈치뼈의 가쪽 윗면에서 일어나는 약간 굵은 방추형 근육으로 힘줄이 되어 앞안쪽으로 비스듬히 내려와 엄지발가락 첫마디뼈바닥을 향해 뻗는다. * 짧은발가락폄근(단지신근) extensor digitorum brevis; 발등에서 짧은엄지폄근의 가쪽에 위치하면 3갈래의 힘줄로 나뉘어 둘째~넷째발가락을 향해 뻗어 있다. * 엄지벌림근(무지외전근) abductor hallucis; 발꿈치뼈 아랫면에서 발바닥 안쪽을 따라가고 힘줄은 먼쪽에서 짧은엄지굽힘근의 안쪽힘줄과 만나서 엄지발가락의 첫마디뼈 바닥에서 멈춘다. * 짧은엄지굽힘근(단무지굴근) flexor hallucis brevis; 안쪽갈래는 엄지벌림근과 함께 안쪽종지뼈(종자골), 가쪽갈래는 엄지모음근과 함께 가쪽종자뼈에 붙는다. * 짧은발가락굽힘근(단지굴근) flexor digitorum brevis; 발바닥널힘줄에 덮여 있고 발꿈치뼈융기 아랫면에서 발바닥 중앙을 앞쪽으로 뻗어간다. 4갈래의 힘줄로 나뉘어 둘째~새끼발가락 중간마디뼈의 바닥 측면에 닿는다. * 새끼벌림근(소지외전근) abductor digiti minimi; 발 가쪽모서리에서 피부 바로 밑에 있다. 앞가쪽을 향히 뻗고 짧은새끼굽힘근과 함께 새끼발가락 첫마디뼈바닥의 가쪽면에 닿는다.